최근 음주에 대한 흥미로운 조사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음주양과 음주 빈도 비교
최근 연구에서 섭취하는 알코올 양보다 섭취 빈도가 소화기암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병원와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의 논문에서 연구팀은 2009~2011년 국가건강검진 수검자 약 1100만 명을 2017년까지 추적 관찰했다고 합니다.
그 중 알코올 섭취량과 소화기암 발생 위험도를 분석했더니, 한 번에 5~7잔의 술을 마시는 집단은 술을 아예 마시지 않는 집단보다 소화기암 발생 위험이 1.15배 크게 나타났습니다. 술 마시는 것이 더 위험하다는 것이죠. 하지만 알코올 섭취량이 5~7잔을 넘어선 이후로는 발생 위험 증가 폭이 크지 않고 유지되었습니다.
조사해보니 과음보다 종요한 건 음주 빈도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매일 조금이라도 음주하는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소화기암 발생 위험이 1.39배나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에 연구팀은 1회 음주량보다 음주 빈도가 소화기암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심방세동 역시 알코올 섭취량보다 음주 빈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네요. 심방세동은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의 하나로, 혈전을 만들어 뇌졸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코올은 심장 내 전기신호 전도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방세동 주요 요인입니다.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가톨릭의대 연구팀에 따르면 음주 빈도가 심방세동 발생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연구팀이 2009~2017년 국가건강검진 수검자 중 심방세동을 진단받은 약 20만 명을 분석한 결과, 음주 빈도가 음주량을 제치고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가장 큰 위험 요인이라고 밝혀냈습니다. 술을 매일 마시는 사람은 일주일에 2회 마시는 사람보다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1.4배 컸습니다. 그러나 술을 마시는 빈도가 같다고 가정하면 총 음주량이 늘어도 심방세동 위험도가 딱히 더 커지지 않았습니다.
음주와 사망 위험 관계
예전에 적당한 음주가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것보다 더 오래 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적이 있는데요. 최근에 이같은 연구를 뒤집는 새로운 분석이 나와서 흥미를 끌고 있습니다. 기존 연구 중 상당수에 결함이 있으며 적당한 음주가 건강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하루 두 잔도 위험하다는 경고라는 것입니다.
캐나다 빅토리아대 연구팀은 ‘하루 알코올 섭취량과 사망 위험 사이 연관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자마네트워크오픈’에 게재했는데요.
기본적으로 연구팀은 술을 적당히 마시는 사람들은 모든 면에서 적당히 하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도 제시했는데요. 운동을 적당히 하는 사람들은 건강에 도움되는 식습관을 유지할 가능성도 높아 적당한 체중을 유지하고 심지어 치아도 건강한 데다 더 부유한 경향도 있다는 것입니다.
즉 알콜 중독일 경우 건강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술을 먹다가 끊은 사람도 비음주자로 포함되어 기존 연구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의 오류를 조정한 뒤 새롭게 분석한 결과 여성은 하루에 25g 이상 알코올을 섭취하면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맥주나 와인으로 따지면 대략 두 잔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남성의 경우 하루 알코올 섭취량이 45g(3잔) 이상일 경우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처럼 술은 사실 백해무익한데요. 업무상 먹게 되더라도 많이 먹지 않고 일주일에 너무 자주 술을 먹지 않도록 해야지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술을 먹더라도 조금만 마시고 빈도수를 줄여서 건강을 챙겨야할 것입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음주하지 않는 것이 건강에 좋을 것 같습니다.